본문 바로가기

1인기업이란

당신은 지식 노동자인가? 육체 노동자인가?

지식사회에 대한 단상
 
피터드러커는 그의 저서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에서 늦어도 2020년에는 지식이 자본과 노동을 대체하는 지식사회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농업사회에서는 농민이, 산업사회에서는 육체노동자가 그랬던 것처럼 지식사회에서는 지식 근로자가 사회의 주역이 된다.

지식사회에서의 지식은 국경이 없이 떠돌아 다닐 수 있고, 누구나 손쉽게 정규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신분 상승 이동도 쉬워진다. 또한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 모두에게 성공의 기회는 있지만 그렇다고 모두 승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지식사회에서는 대다수가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손쉽게 생산수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노트북 하나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고, 전세계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알리바바닷컴을 활용하면 공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생각하고 있는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말처럼 '우리 모두가 기업가'다. 지식사회에서의 지식근로자는 자신이 살고 싶은 인생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것에 소요되는 비용은 산업화시대에 비하면 0원에 가깝다.

중요해지는 지적재산권
 
기업은  이미 지식사회의 한 가운데 서 있다. 최근의 삼성과 애플의 소송, 듀폰과 코오롱의 소송에서와 같이 지식은 경쟁의 원천이 되고 있다. 미국은 지식이 경쟁의 원천임을 알고 한미 FTA 체결 시 특허와 저작권 등 각종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사항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설정하였다. 실제 미국은 특허가 아닌 기타 저작물의 경우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했다"는 이유로 저작권 기한을 70년까지 연장했다. 전 세계 문화 콘텐츠의 40% 가량을 독점하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당연히 주장해야 하는 권리이다.

지금까지는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권에 대한 문제가 거론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개인까지 이슈가 확산될 것이다.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기업과 개인은 당연히 자신의 권리를 더욱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식기반 경제는 지적 재산권을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적 혁신과 경쟁, 그리고 이윤창출을 의미한다. 
 
과거가 미래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산업사회에서는 낮은 원가로 빠르게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 시대의 근로자는 성실하게 조직이 정해 놓은 룰에 잘 따르면 되었다. 그러나 지식사회에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재산이나 소득보다는 미래 소득을 창출할 지식이나 능력이 더 중요하다.

▲ 이미지출처 : http://goo.gl/HrPs6

여기에서 '지식'이라하면 '정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자신을 '지식근로자'라고 생각하지만, 어제 한 일, 오늘 한 일, 내일 해야 할 일이 똑 같다면 그 사람은 지식근로자라고 할 수 없다. 자신의 것을 아무것도 만들어 내지 못하면서 공사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벽돌을 짊어지고 나르는 육체노동자와 다를게 없다. 반면 벽돌을 짊어지고 나르는 사람이 좀 더 효과적으로 업무를 개선한다면 이 사람을 지식근로자라고 할 수 있다.

지식근로자와 육체근로자의 구분점은 책상에서 근무하느냐, 현장에서 근무하느냐가 아니라 자신의 정보와 경험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정보란 '사정이나 정황에 관한 소식이나 자료'를 말하고 지식은 '배우거나 실천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뜻한다. 정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지 못하면 그것은 '정보'일 뿐 '지식'이 되지 못한다. 정보는 누구나 가질 수 있지만, 지식은 누구나 가질 수 없다. 지식은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지식체계에 편입시킬 때 얻어진다.

1인기업이여! '블로그'를 해라
 
지식사회의 핵심은 정보의 유통이 아니라 가치 있는 정보의 생산이다. 블로그에 남의 글을 아무리 많이 스크랩해놓아도, 신문에서 관심사를 아무리 많이 스크랩해놓아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산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지식이 아니라 널려 있는 정보를 갖고 있는 것 뿐이다. 

1인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SNS를 많이 이야기 한다. 그러나 기능을 알고 SNS를 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1인기업을 마케팅 하지 못한다. 핵심은 '자신만의 콘텐츠'이다. 남의 이야기를 스크랩해놓은 '정보 저장 공간'이 아니라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트위터는 너무 많은 트윗량으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페이스북은 친구가 되기전까지는 상대방의 콘텐츠가 보이지 않는다. 반면 블로그는 네이버, 다음, 구글과 같은 기존의 검색엔진에 검색되면서도 다양한 SNS와 연동하여 할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생산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본질은 '콘텐츠'이다. 자신만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면 누구나 '지식근로자'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은 '블로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