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강사가 되고 싶은 사람들 |
이미지출처 : http://goo.gl/NhbpJ
이미지출처 : http://goo.gl/q7zFmy
콘텐츠로 검증된 명강사 |
이미지출처 : http://goo.gl/WvlIKk
강점에 집중하라 |
"윤대리는 숫자에 약한 것 같아. 조금만 더 꼼꼼히 데이터를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해", "김과장은 업무는 꼼꼼히 처리하는데 추진력이 부족한 것 같아. 조금만 더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태도가 필요해"와 같이 우리는 부족한 것을 지적해주면서 사람들을 성장시키려고 한다. 듣는 사람도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그러나 아주 많은 연구에서 행복을 위한 지속적 발전과 성장의 디딤돌은 자신의 강점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한다. Gallup Organization에 따르면 강점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경영자는 일반 경영자에 비해 성공확률이 1.9배 높으며, 일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이 강점발휘가 곤란한 사람보다 업무 몰입률이 6배나 높다고 한다.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어가기 위해서 '결핍동기'보다는 '성장동기'에 집중해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잘할 수 있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경우 걱정이나 스트레스, 슬픔, 신체적 통증 등을 덜 감지한다고 한다. 강점에 집중했을 때 초월적인 행동이 발생한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미지출처 : http://goo.gl/O2UqpU
이런 사례들은 강의시장에서도 발생한다. 예를 들어 마케팅 실무를 잘 가르치는 사람이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재무관리에 집중하는 것이다. 강사로 활동하는 사람에게는 다양한 기회가 온다. 마케팅을 강의하는 사람에게 사업타당성분석 강의가 들어오기도 하고, 온라인마케팅을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온라인마케팅을 강의하기도. 그러나 장기적으로 자신만의 강점에 기반한 콘텐츠가 가장 큰 설득력을 갖게 된다. 주변의 의뢰로 이것저것 강의할 수는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 그 사람의 강점이 보이지 않아 그저 그런 강사가 되버리는 것이다.
-----------------------
2010/05/29 - [비즈니스모델] - 소프트웨어형 1인창조기업 비즈니스모델
2012/04/04 - [비즈니스모델] - 지식서비스 기반의 1인창조기업 컨설팅 비즈니스모델
'비즈니스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모델] 아이디어 문제가 아니라 수익을 낼 수 있는 모델이어야 한다 (0) | 2017.01.17 |
---|---|
[파괴적 혁신]기존 산업을 무력화 시키는 파괴자들 (0) | 2014.09.03 |
강사는 기업이고 강의는 산업이 되어가고 있다. (0) | 2013.11.29 |
실패를 최소화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계획서 검토사항 (0) | 2013.11.20 |
수익창출 관점에서 바라본 비즈니스모델 유형들[1인기업 1인경영시대] (0) | 2013.08.13 |
원가우위와 차별화 관점의 비즈니스모델 (0) | 2013.08.12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