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으로 검색하는 소비자 |
네이버, 다음, 구글 등 검색포털에서 운영하는 '지역정보'서비스는 이용자가 검색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있는 오프라인 업체 정보를 노출해주는 서비스이다. 소비자는 검색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사진, 메뉴별 가격표, 지도, 길찾기, 교통, 사용자 구매후기, 쿠폰 제공 유무 등을 확인하고 해당 매장에 갈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소비자는 지역정보를 활용하여 약속장소가 있는데 어떻게 가야 빠른지도 확인할 수도 있고, 주말에 데이트 장소를 찾을 때 지도와 도로코스 등도 알아볼 수 있다.
▲ 출처 : http://goo.gl/qtdqJ
네이버, 다음, 구글 지역정보 등록방법 |
■ 네이버 지역정보 등록
70%가 넘는 검색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가 지역정보 등록 1순위다. 웹으로 등록한 정보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에서 노출되므로 웹을 먼저 설계해야 모바일에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네이버 지역정보 등록은 메인페이지 최하단의 '검색등록'에서 할 수 있다. 지역정보는 매장 전화번호로 등록하는 것으로 '010'과 같은 핸드폰이나, '070'과 같은 인터넷전화도 가능하다.
매장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업체명 20자, 소개문구 60자, 이용시간, 최대 12개까지의 가격정보, 메뉴판 사진, 최대 25장의 매장 사진, 미투데이 URL, 블로그 URL, 카페 URL 등을 입력하여 지역정보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입력 내용은 네이버 담당자의 검수과정을 거쳐 등록 여부가 결정되며, 검색을 유의하면서 등록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정보 등록이 완료된 후에는 3개월에 한 번씩 업체 소개 내용 등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계절성을 가지는 매장의 경우 적절하게 수정을 해줄 필요가 있다.
▲ 네이버 지역정보 등록
▲ 다음(Daum) 지역정보 등록
▲ 구글(Google) 지역정보 등록
지역정보 유료 광고 활용 |
■ 네이버(Naver) 지역정보 유료 광고 활용
광고진행은 네이버 메인페이지 최하단의 '광고'를 클릭한 후 '지역정보 광고'에서 진행할 수 있다. 로컬링크는 제시한 입찰가에 따라 광고비용과 노출순위가 결정되는 기간제 방식의 키워드 광고이며 한 달에 한 번 입찰방식으로 구매하면 된다.
▲ 네이버 지역정보 유료광고 활용
▲ 다음(Daum) 지역정보 유료광고 활용
'온오프라인 홍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라인의 강점을 활용하면 온라인을 이길 수 있다 (0) | 2013.02.19 |
---|---|
10만원을 써야 20만원을 벌 수 있는 '키워드광고' 활용방법 (0) | 2012.07.17 |
114가 아닌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 가게를 찾아낸다 (0) | 2012.07.16 |
유머는 사람을 무장해제 시키는 힘이 있다. (0) | 2012.07.13 |
아직도 전단지만 붙이나요? SNS쿠폰 마케팅 활용하세요 (0) | 2012.07.11 |
위기발생 시 불만고객을 단골고객으로 만드는 기술 (0) | 2012.07.10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