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즈니스모델 (29)
강력한 개인의 시대 - 1인기업 1인경영시대
'웹2.0은 플랫폼으로서 웹이다', '스마트폰 시장의 싸움은 플랫폼 싸움을 의미한다'와 같이 IT관련 글을 접하면 '플랫폼'이라는 용어가 자주 나옵니다. 이번글에서는 1인기업관점에서 플랫폼 비즈니스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플랫폼(Platform)이란? 컴퓨터용어로 플랫폼(Platform)은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하는데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말하며, 일상 용어로는 철도역에서 화물이나 승객이 열차에 타고 내리기 위해 만든 시설물을 의미합니다. 용어 설명으로도 '플랫폼'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최근 많은 조명을 받고 있는 IT관점에서 플랫폼(Platform)을 정의하면 '내가 나의 상품이나 서비스 모든 것을 다 주관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이 나의 상품이나..
※ 위 자료는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실시한 IT CEO FORUM 컨퍼런스 'KT 오픈생태계 발전방향' 자료를 기초로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Network 사업에서 플랫폼 사업으로! 아이폰은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으로 모바일 시장의 판도를 바꿔놓았습니다. 기존 Network 사업자 중심의 모바일 시스템이 플랫폼 사업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하나의 회사가 제품과 서비스를 모두 담당하기 보다는 다양한 구성원을 참여시키는 플랫폼 전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제는 과거와 같이 Computing, Web, Mobile, Telecom 과 같이 각각의 사업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웹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던 구글은 '넥세스원'이라는 스마트폰을 출시하였으며, 하드웨어를 만들어..
정부는 최근 한국콘텐츠진흥원을 통해 모바일 콘텐츠 지원사업을 공지했습니다. 1년전까지도 생소했던 '모바일 콘텐츠'가 애플의 아이폰을 통해 국내에 큰 반향을 가져온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의 앱스토어가 가져온 경쟁방식의 변화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경쟁의 방식을 바꿔버린 앱스토어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모바일 게임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들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형제조업체와 SK, KT 등 통신회사들에게 잘보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했습니다.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나 통신회사 서비스에 제공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삼성전자나 SK 등 대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을 할 수 있는 회사들은 자체적으로 기획, R&D, 생산, 판매 등의 인력을 보유한 업체로 제품(서비스)를 납품할 수 있는 회사..
디지털 콘텐츠의 비즈니스 모델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과 맞물려 디지털 상품의 복제와 유통이 쉬워지면서 영화, 음악, 소프트웨어 등은 돈을 주고 이용하기보다는 무료로 이용한다는 인식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최근 정부의 규제강화와 소비자 인식수준 개선으로 불법 다운로드는 예전에 비해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불법 다운로드 시장은 합법 다운로드 시장에 비해 20배나 될 정도로 시장 상황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KBS, MBC 등 지상파 방송사는 콘팅(conting.co.kr) 사이트를 통해 유료로 콘텐츠를 판매하기도 하며, 방송다시보기 서비스의 경우 광고주에게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도 합니다. 근본적으로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개선되어 유료로 컨텐츠를 이용하는 분..
※ 위 자료는 삼성경제연구소의 '프로세스 혁신과 서비스 경쟁력'보고서를 참조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서비스산업의 중요성 증가 한 나라가 선진국으로 갈수록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지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GDP의 50%이상, 고용의 경우 60%이상을 서비스산업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제조업생산을 지원하는 서비스산업의 역할도 점차 커지고 있으며, 향후 산업발전에 따라 서비스산업과 제조업간 상호보완적 연관관계는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발표한 '프로세스 혁신과 서비스 경쟁력'이라는 보고서를 참조하면 제조업체가 서비스를 강화하고, 서비스업체가 새로운 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참조할만 합니다.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의 유형 Type Ⅰ은 제조업체가 제품과..
인터넷이 가져다 준 새로운 기회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산업화시대에는 불가능하였던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참여, 개방,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웹2.0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인터넷 경제의 비즈니스 모델을 ITIF에서 15가지 유형으로 정리한 자료를 소개해 드립니다. 전자유통 IT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유통 기반 사업모델 보다 저가로 상품과 서비스 제공 E TRADE, lendingtree.com esurance.com, ING BANK, NetFlix, iTunes, PayPal 부분소유(fractional ownership) 인터넷을 통한 스케줄링을 통해 자산의 한시적 이용이 가능한 시간대 동안 소유 ZipCar, FlexCar, NetJets, FlexJet 유휴 생산 마케팅 정..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1인창조기업, 소호(SOHO)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은 강의, 컨설팅, 저술활동 등 대부분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한다는 점에서 나의 업무를 다른 사람이 대신하기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정형화된 틀에 넣고 시스템화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문서비스인 병원이 맥도날드식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입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인창조기업이 자신의 업무를 시스템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은 고객 가치제안을 달성할 수 있는 활동체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그건 안되는거야', '그건 가능하지 않아'와 같이 기존 사고방식의 틀에 넣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 기존 주류 미디어들은 불과 10년 남짓한 세월동안 성장한 '인터넷 미디어'들의 트래픽에 목말라하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조선일보를 직접 방문해서 기사를 접하기 보다는 네이버나 다음을 통해 접하는 기사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디어 관점이 아닌 비즈니스모델관점에서 주류 미디어였던 신문이 놓쳤던 생활정보지 사업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대기업에 편중되었던 신문광고 한국미디어경영연구소 조사에 의하면 2008년도 기준으로 신문 및 잡지의 매출 중 구독료 비율은 24%에 지나지 않습니다. 나머지 76%는 광고수익입니다. 구독자가 많지 않은 경제지의 경우에는 구독료는 16%, 광고수익은 84%로 기사 제작과 배포에 필요한 ..
많은 사람들은 자영업(음식업, 서비스업, 도소매업 등)을 1인기업, 소호(SOHO)기업, 1인창조기업의 범주에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자영업은 1인기업 또는 소호(SOHO)기업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1인기업에게 비즈니스모델이란 어떤 것인지 한 번 생각해보겠습니다. 비즈니스모델이란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즉 인터넷이 우리 일상생활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간단한 아이디어만으로도 비즈니스모델 특허를 받을 수 있었던 때입니다. 비니스모델이란? 네이버 백과사전에 의하면 비즈니스모델(business model)이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하는 계획 또는 사업 아이디어'라고 나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