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 워킹

문제를 바라보는 사고방식과 로직트리(Logic Tree) 개념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비즈니스는 끊임없는 문제해결과정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느냐는 문제를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문제를 대하는 방식은 크게 '문제 기피형', '문제 노출형', '문제 해결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문제기피형은 문제를 인정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변명하기에 급급한 것을 말합니다. '잘 알지 못해서', '해보지 않아서', '돈이 없어서', '배우지 못해서', '시간이 없어서' 등의 변명으로 문제를 기피하는 경우입니다. 문제기피형은 개인 및 조직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유형입니다.

문제노출형은 문제를 파악하는 그 자체에 만족하는 경우로 문제에 대한 원인은 밝혀내지만 정작 무엇이 핵심인지는 알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깊이가 없고 나열식인 교과서 수준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단계로 업무에 대한 전문성과 통찰력이 부족한 유형입니다.

문제해결형은 문제 및 그 원인을 논리적으로 밝혀 해결해야 할 핵심과제가 무엇인가를 제시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이들은 '한 번 해보자', '안 되는 문제부터 해결하면 되지', '새로운 방법은 없을까?', '이렇게 하면 될 것이다'와 같이 긍정적이며 진취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해결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대상으로 봅니다.

로직트리(Logic Tree)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해결할 문제가 무엇인지부터 파악되어야 합니다. 최초의 시점에서 주요 이슈를 상세하게 도출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첫번째 단계인 것입니다.  문제의 핵심은 무엇이고, 그에 따른 이슈가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환경분석, 경쟁자분석, 소비자분석 등은 의미가 없습니다. 

최초의 문제제기 시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법으로 로직트리(Logic Tree)를 들 수 있습니다. 로직트리란
주어진 문제 또는 과제에 대하여 서로 논리적 연관성이 있는 하부과제들을 나무 모양으로 전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하부 문제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어떤 수단을들 고려해야 하는지 체계를 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입니다.

로직트리를 전개할 때 사고의 논리적 연결을 계속해나가기 위해서는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개념을 사용 합니다. MECE는 상호 배타적이며 총합으로는 전체를 이루는 요소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어떤 사항을 중복되지 않고, 누락되지 않게 하여 부분으로 전체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MECE는 이슈의 누락 또는 중복을 피하고 전략 설정에 있어 논리적이고 실제적으로 사고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 MECE의 예 (출처 : : Logical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위 그림에서 보듯이 남자와 여자는 사람이라는 카테고리에서, 실수와 허수는 숫자라는 카테고리에서 중복이나 누락이 없으면서 전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증자와 은행차입금은 자금조달 카테고리에서 중복은 없으나 회사채조달이 빠져있고, 의약품시장 카테고리에서 개인병원, 일반병원, 대학병원은 빠짐은 없으나 중복이 발생해서 MECE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로직트리를 활용해 원인분석을 하는 이유는 핵심 문제점의 근본원인을 해결해야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로직트리는 문제 해결의 각 단계에서 풀어야 하는 이슈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설 설정, 가설의 검증을 위한 분석 방법, 정보 source, 담당자 선정 등 문제해결과정의 체계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합니다.